Ai5 "지브리 프로필" 열풍 속 얼굴 데이터 학습 우려 "지브리 프로필" 열풍 속 얼굴 데이터 학습 우려 * 챗GPT의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생성 기능이 폭발적 인기를 끌면서, 이용자들이 올린 사진이 AI 학습에 활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. * 챗GPT 출시 직후 국내 일간 이용자는 125만 명에서 308만 명으로 급증했으며, 오픈AI는 글로벌 기준 7억 개 이상의 이미지를 수집했다. * 오픈AI의 개인정보 처리방침에는 이용자가 업로드한 이미지와 프롬프트가 서비스 개선에 사용될 수 있다고 명시돼 있다. * 기본 설정으로는 AI 학습에 활용되며, 사용자가 직접 ‘데이터 제어’ 항목에서 비활성화해야 한다. * 전문가들은 초상권 침해 및 민감 정보 유출 가능성을 경고하며, 사진 업로드 시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. https://n.news... 2025. 4. 10. 디지털 월세 시대, 늘어나는 AI·OTT 구독 부담 디지털 월세 시대, 늘어나는 AI·OTT 구독 부담 * AI와 OTT, 음악 등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 구독으로 매달 10만 원 넘는 고정 지출을 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. * 챗GPT, MS 문서 서비스, 링크트인 등 업무 관련 구독 서비스도 보편화되며 디지털 서비스가 필수 소비재로 자리 잡았다. * KB국민카드에 따르면 2024년 구독 서비스 지출은 전년 대비 17.1% 증가했고, 생성형 AI 유료 구독은 299% 급증했다. 챗GPT의 유료 이용자는 2천만 명을 넘어 매달 약 6천억 원의 수익이 추정된다. * 이에 따라 ‘디지털 월세’라는 표현이 생겼고, 이용자들은 구독료를 줄이기 위해 할인 카드나 무료 대체 서비스를 찾고 있다. * 국내외에서 무료 AI 서비스와 오픈소스 프로그램 이용이 증.. 2025. 4. 6. 중국 AI ‘딥시크’, 챗GPT 제치고 급성장 중국 AI ‘딥시크’, 챗GPT 제치고 급성장 *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출범 한 달 만에 월간 트래픽에서 오픈AI 챗GPT를 넘어섰다. * 월 방문 수는 5억2천470만 건으로 챗GPT(5억 건)를 앞질렀으며, 무료로 GPT-4급 성능을 제공하면서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. * 딥시크는 답변의 정확성과 추론 과정 시각화 기능을 강점으로 대학생, 취업준비생, 개발자들 사이에서 ‘세컨드 AI’로 자리 잡고 있다. * 하지만 중국 내 서버에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며, 정부 요청 시 제공될 가능성이 있어 개인정보 보호 논란이 커지고 있다. * 정부는 일부 공공기관과 기업에서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지만, 웹 버전 이용은 여전히 가능하다. * 보안 전문가들은 데이터 유출과 악.. 2025. 4. 2. 알파세대, 스타벅스 대신 다이소 선택…소비 트렌드 주도 알파세대, 스타벅스 대신 다이소 선택…소비 트렌드 주도 * 알파세대(2010~2024년생) 초등학생들이 소비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. * 이들은 밀레니얼·Z세대와 달리 고가 브랜드보다 접근성 높은 브랜드(다이소, 편의점 등)를 선호하며, 유튜버 굿즈와 AI 추천 콘텐츠에 기반한 소비를 한다. * 또한 로블록스·마인크래프트 등에서 브랜드 협업 콘텐츠를 즐기고, 숏폼 영상에서 본 제품을 직접 구매 요청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. * 전문가들은 AI·SNS 기반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. https://v.daum.net/v/20250324103623458 스타벅스보다 다이소? 초등학생이 바꾸는 소비의 판서울의 한 다이소 매장. 연합뉴스 초등학생들이 스타벅스를 외면하고 다이소를 택했.. 2025. 3. 24. 중국, AI 기업 딥시크 직원 여권 압수…기술 유출 차단 중국, AI 기업 딥시크 직원 여권 압수…기술 유출 차단 * 중국 정부가 생성형 AI 기업 ‘딥시크’ 직원들의 여권을 압수하며 통제 강화를 진행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. * 딥시크가 1월 추론모델 R1을 출시하며 주목받은 이후, 기술 유출 방지 차원에서 주요 연구개발(R&D) 직원들의 여권을 압수 * 중국 당국은 AI 개발자와 임원들에게 미국 방문 자제를 권고한 바 있음 * 딥시크 투자 기업 선정에 중국 정부가 직접 개입, 시진핑 지도부는 이를 '국가의 보배'로 지칭 * 최근 열린 중국 양회(兩會)에서도 딥시크를 강조하며 AI 경쟁력을 과시한 것으로 알려졌다. https://v.daum.net/v/20250322142123580 기술 뺏길라…"中 정부, '딥시크' 직원들 여권 뺏고 출국 .. 2025. 3. 22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