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세.상.이.야.기

중국 AI ‘딥시크’, 챗GPT 제치고 급성장

by 뿌리 깊은 갈대 2025. 4. 2.
728x90

 

 

중국 AI ‘딥시크’, 챗GPT 제치고 급성장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*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출범 한 달 만에 월간 트래픽에서 오픈AI 챗GPT를 넘어섰다.

 

* 월 방문 수는 5억2천470만 건으로 챗GPT(5억 건)를 앞질렀으며, 무료로 GPT-4급 성능을 제공하면서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.

 

* 딥시크는 답변의 정확성과 추론 과정 시각화 기능을 강점으로 대학생, 취업준비생, 개발자들 사이에서 ‘세컨드 AI’로 자리 잡고 있다.

 

* 하지만 중국 내 서버에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며, 정부 요청 시 제공될 가능성이 있어 개인정보 보호 논란이 커지고 있다.

 

* 정부는 일부 공공기관과 기업에서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지만, 웹 버전 이용은 여전히 가능하다.

 

* 보안 전문가들은 데이터 유출과 악성코드 위험을 경고하고 있으며, AI 서비스 이용 시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경각심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.

 

 

 

https://v.daum.net/v/20250331161246422

 

[AI는 지금] 中 딥시크, 한 달만에 '챗GPT' 트래픽 제쳤다

(지디넷코리아=조이환 기자)중국 인공지능(AI) 스타트업 딥시크가 출범 한 달 만에 월간 트래픽 면에서 오픈AI 챗GPT를 제쳤다. 무료인 딥시크는 GPT-4 수준의 고급 기능을 제공하면서 아시아 시장

v.daum.net

 

 

 

저는 AI 같은거 활용할줄 몰랐는데요.

우연히 챗GPT를 써보게 됐어요.

 

뭘 질문해야할지도 모르겠어서ㅋ

그냥 이것저것 물어봤는데, 오.

생각보다 뭐랄까. 사람같다고 해야하나^^

 

신나서 물어보다보니 횟수초과?

뭐 그런게 걸려서 몇시간 후에 된다고 나오더군요.

다른 모델로 이용이 가능하다던데,

아무래도 GPT-4 성능이 제일 좋은 듯 합니다.

 

그런데 GPT-4에 견줄만한 딥시크라니.

딥시크 아직 안써봤는데요.

웹 버전은 아직 이용이 가능하다니,

한번 써봐야겠습니다^^

 

그나저나 저는 이런 기사를 보면요.

어디선가 비밀리에 자라나고 있을!

K-AI가 존재할 것만 같습니다~

어서 나와줘요ㅋ